나이를 들어가는 내 몸을 알기 위해서 약을 뭐를 먹는 게 좋을까 등을 알아보려고 하며 쓰는 다섯 번째.
약물학에 대해서 일부라도 좀 알아보려고 이렇게 써보게 됨. (출처 : 신일북스 약물학)
8) 약물작용의 종류
약물이 생체에 작용하여 일으키는 생리현상의 변화를 약물작용이라고 함. 즉, 약물작용이란 생체의 본질적인 생리현상이 정상상태에서 이탈했을 경우 약물이 이에 작용하여 생리현상에 영향을 주어 정상화시킴으로써 그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게 하는 작용이라고 할 수 있음. 이와 같은 약물작용은 약물에 다라 나타나는 현상이 각각 다르며, 이 작용을 표현하는 용어도 각각 보는 관점에 따라 다름
(1) 국소작용과 전신작용
약물이 생체에 작용할 때 생체에 적용한 접촉부위에 국한해서 생리현상의 변화를 일으켰을 때 국소작용 lo-cal action이라고 함. 이에 대하여 약물의 적용부위에서 흡수되어 혈액이나 임파액을 통하여 전신으로 분포되고 각 기관인 심장이나 뇌 등의 장기에 도달하여 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전신작용 또는 흡수작용(absorptive action)이라고 함.
국소마취약인 cocaine을 점막에 적용하면 마취작용을 일으키는데 이것은 국소마취작용이 됨. 그러나 이것이 흡수되면 중추흥분독으로 작용하는데 이것은 흡수작용이 됨. 부신피질 steroid는 국소적용하면 전신작용으로서의 부작용은 거의 없으며, 제산제는 국소작용으로 위산중화작용이 있으나, 전신작용으로 체액의 alkali화 작용이 있음. 즉 약물은 흡수, 배설, 분포 등 경로에서 각 생체막 또는 경계막을 투과하여야 하는데 약물의 전신작용은 이 막에 대한 투과성에 따라 강약이 결정됨.
(2) 일반작용과 선택작용
약물을 생체에 적용했을 경우 흡수되어 일으키는 생리현상의 변화가 전신적으로 일으켰을 경우 일반작용이라고 함. 그러나 어느 특정한 장기나 조직에 대해서만 생리현상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경우 이것을 선택작용이라고 함. 예를 들면 어떤 약물이 흡수되어 지각, 운동, 분비, 호흡, 순환 등에 대하여 일반적인 생리현상의 변화를 일으켰을 경우는 일반작용이라고 함. 그러나 digitalis를 투여했을 때 이것이 흡수되어 생체의 특정장기인 심근에 작용하여 강심작용을 일으켰을 경우 이 강심작용은 선택작용이라고 함
(3) 중추작용과 말초작용
약물을 투여했을 경우 그 생리현상 변화가 중추로 작용하기 때문에 일으키는 작용인가 또는 말초장기에 작용하여 일으킨 작용인가에 따라 구분하는 작용분류.
예로 알코올을 많이 섭취하면 호흡중추가 흥분하였다 진행되면 마비로 치사에 이르게 됨. 이와 같은 작용은 중추작용이나 d-tubocurarine을 다중주사 투여하면 호흡정지로 치사하게 되는데 이것은 중추작용에 의한 것이 아닌 호흡근에 작용하여 호흡근의 마취로 치사케 되는 말초작용임.
(4) 직접작용과 간접작용
약물을 투여했을 경우 약물의 작용점과 작용발현점이 동일할 때 직접작용 또는 1차 작용(primary action)이라고 하고 약물의 작용점과 작용발현범이 다를 때 간접작용(indirective action) 또는 2차 작용(secondary action)이라고 함. 예를 들면 digitalis를 투여했을 경우 강심작용은 심근에 직접 작용하여 일으키는 것으로 직접작용이며, 이뇨작용은 강심작용 때문에 신동맥의 혈류증가로 일으키는 것으로 간접작용임
(5) 속효성작용과 지효성작용
약물은 투여했을 경우 대개 경구 투여 시에는 30분 내이, 주사투여 시에는 수분이내에 생리현사으이 변화인 작용을 일으킴.
그런데 이에 비하여 주사투여 시 주입한 후 곧 작용을 일으켰을 때 속효작용이라고 하고, 투여 후 수 시간이나 며칠 후에 작용을 일으켰을 때 지효성 작용이라고 함. 예를 들어 thopental sodium 주사시의 수면작용이나 amylnitrate흡입시의 천식발작 치료작용은 속효성작용이며, 비타민 투여로 인한 대사기능항진작용이나 MAO저해약 투여시 항우울작용 등의 발현은 늦어서 지효성 작용임.
(6) 일과성작용과 지속성작용
약물투여 시의 작용발현과 소실이 일반약물의 작용보다 빠르고 짧은 것을 일과성작용이라고 하고 작용발현이 늦으면서 지속적으로 작용이 유지되는 것을 지속성 작용이라고 함.
(7) 급성작용과 만성작용
약물투여 후 장기기능의 변화발현이 시간적 차이에 따라 빨리 나타나는 것을 급성작용이라고 하고 비교적 서서히 변화를 진행성으로 일으키게 하는 것을 만성작용이라고 함. 예를 들어 황인을 동물에 투여했을 경우 일시에 다량투여하면 사지의 청색화와 호흡곤란이 따르며 치사에 이르게 된다. 이는 과량투여로 인한 급성작용임. 또한 일정량씩 장기간 투여 시 황달증상을 일으킨 후 점차 쇠약해져서 영양섭취를 못하게 되어 치사케 되는데 이는 황인이 생체내에 필요한 효소작용을 저해하여 간장해를 일으키게 함으로 영양실조로 치사시키는 만성작용임.
(8) 주작용과 부작용
약물투여 시 발현하는 작용이 치료 목적에 부응하는가 여부에 따라 용어가 다름.
기대하는 작용의 발현이 주작용 또는 치료작용이라고 하며, 기대하지 않은 유해한 작용을 발현하였을 때 이를 부작용이라고 함. 즉, 치료목적에 이용하는 작용이 주작용이며, 치료상 불필요하거나 방해되는 작용을 부작용이라고 함.
그럼 다들 맛있고 즐겁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
'4. 건강관련 > - 약물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2-4 약물역학 (1) | 2025.01.30 |
---|---|
STUDY 2-3, 약물역학 (8) | 2025.01.26 |
STUDY 2-1, 약물역학 (2) | 2025.01.24 |
STUDY 1-2, 수용체와 신호전달 (3) | 2025.01.23 |
STUDY 1-1, 수용체와 신호전달 (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