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를 들어가는 내 몸을 알기 위해 약을 뭐를 먹는 게 좋을까 등 알아보며 쓰는 열세 번째.
약물학에 대해서 일부라도 좀 알아보려고 이렇게 써보게 됨. (출처 : 신일북스 약물학)
1. 국소마취약물
다) 국소 마취제의 종류
<Amides>
- Lidocaine hydrochioride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아마이드류이며 내성을 형성함. 방향족 고리에 두 개의 메틸기를 가지며 이로 인하여 procaine보다 비교적 높은 소수성을 띄며 Lidocaine은 비교적 pka가 낮아 생리적 ph에서는 주로 중성형태로 존재함. 이러한 이유로 Lodocaine은 빠르게 마취효과를 일으킴. Lodocaine의 작용시간은 Lodocaine이 갖은 소수성 때문에 장시간 동안 투여부위에 머물 수 있음. 또한 이 소수성은 procaine과 비교하여 Lodocaine이 더 강하게 나트륨 이온통로의 국소마취제 작용 부위에 결합하여 약물의 효력을 증가시킴.
침윤마취, 국소신경차단에 사용되며, 척수마취제로쓰며 동일용량의 프로카인보다 약효가 신속하고 강력하며 지속적임.
표면마취 농도는 2~4%를 사용하며 주사로는 0.5~2.0%가 유용하고 1:50,000 ~ 1:200,000dml epinephrine과 병용됨.
혈류에서 느리게 대사되기 때문에 유용한 항부정맥제로 사용됨. Lodocaine의 독성은 주로 중추신경계와 심장에서 나타남. 이러한 부작용은 기면, 이명, 단일수축, 심지어 발작까지 일으킴. 중추신경계의 기능저하와 심장독성은 Lodocaine의 혈중농도가 높을 경우 일어남.
- Bupivacaine hydrochioride
Bupivacaine은 약물의 효과가 장시간 지속됨. 이 약물은 삼차 질소기에 부틸기가 결합되어 있어 높은 소수성을 지니어 높은 효력을 보임.
척추, 경막 외 말초신경 차단과 침윤마치로 사용됨. 운동신경을 억제시키지 않으면서 2~3시간 정도 통증을 감소시켜 주기 때문에 분만과 수술 후 마취의 용도로 저농도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그러나 고농도에서 나타나는 심장 독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 0.125%보다 낮은 농도에서는 심장독성의 가능성은 거의 없으며 태아에서의 약물농도는 낮고 약물에 의한 척수마취에도 사용할 수 있음. Mepivacaine이나 Lidocaine보다 효능이 4배 강력하나 독성도 4배 강력함. epinephrine(1:200,000) 첨가 또는 단독으로 0.25~0.75% 농도로 사용됨
- Etidocaine hydrochioride
리도카인과 화학적으로 유사하나 작용지속시간은 김. 경막외마취 등 부분차단에 사용하며 감각신경 차단보다는 운동신경차단이 우수하므로 산과에서의 이용은 제한됨. 0.5~1.5% 용액으로 유용하고 epinephrine 병용(1:200,000) 또는 단독으로 사용함.
- Mepivacaine hydrochioride
Lidocaine보다 지속시간이 길고 액혀빌햔더 빠름(3~5분). 산과에서 널리 사용되나 최근 일시적인 신경행동학적 효과의 발현으로 사용이 감소되고 있으며, 부작용은 다른 국소마취제와 유사하며 1~2%로 유용하고 epinephrine이나 levqnordefine과 병용할 수 있음.
- Prilocaine hydrochioride
Lidocaine과 흡사함. Prilocaine은 약물의 작용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epi-nephrine을 함께 투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epi-nephrine이 금기된 환자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됨. 리도카인보다 작용발현이 조금 늦으나 독성이 40% 이상 적고 국소마취에 적당함. 축적작용이 있으며, hemoglobin을 methemoglobin으로 전환시켜 산소운반 작용을 방해하나 methylene blue 등의 환원제를 투여하면 다시 회복됨.
<표면마취제>
- Ropivacaine
Ropivacaine은 Bupivacaine과 구조가 비슷하고 최근 장시간 아마이드성 국소마취제로 개발되었으며, 지속시간은 Bupivacaine과 유사하며, 효력이 조금 약하나 부정맥을 일으키는 심장독성이 적은 것이 장점임. 침윤, 전도 및 경막외 마취에 이용됨.
- Tetridotoxin 및 Saxitoxin
현재까지 알려진 독물 가운데 가장 독성이 강한 물질들로서 마우스에서의 최소치사량이 8 ㎛/kg임. Tetridotoxin은 복어의 생식기관 및 간장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salamandridae과에 속하는 영원(newt)의 피부에서도 추출됨. Saxitoxin은 플랑크톤의 일종일 Gonyaulax catanella 및 Gonyaulax tamer-ensis에서 추출되는 독소로서 Gonyaulax는 온도 및 광선이 적절한 조건에 이르면 급속히 번식하여 소위 적조현상(red tide)을 일으킴. 이떄의 Gonyaulax는 인체에 대하여 강한 독성을 가지며 이를 섭취한 조개를 다른 사람이 먹을 경우 마비성 조개중독이 나타남. 두 독소는 일반국소마취제와 구조적으로는 판이하나 작용기전은 유사함. 임상적으로는 아직 사용되지 않으나 현존 국소마취제보다 강력하며 보다 선택적이므로 국소마취제의 새로운 화합물로서 개발이 기대되는 물질임. 동물실험에서는 Saxitoxin과 국소마취제를 병용하였을때 각각의 작용시간보다 길게 국소마취효과를 나타냄이 입증되었음.
그럼 다들 맛있고 즐겁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
'4. 건강관련 > - 약물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6-1. 항정신병약 (9) | 2025.02.08 |
---|---|
STUDY 5-3. 국소마취약물 (0) | 2025.02.07 |
STUDY 5-2. 국소마취약물 (2) | 2025.02.06 |
STUDY 5-1. 국소마취약물 (2) | 2025.02.05 |
STUDY 4-3. 근이완약물, STUDY 5-1. 국소마취약물 (6)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