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건강관련/- 약물학 관련

STUDY 0, 약물학 총론

by ppeeriri 2025. 1. 21.
728x90
반응형
SMALL

내가 취미로 게시하는 것 외에  나이를 들어가는 내 몸을 알기 위해서 약을 뭐를 먹는 게 좋을까 등을 알아보려고 하다가..

약물학에 대해서 일부라도 좀 알아보려고 이렇게 써본다. (출처 : 신일북스 약물학)

 

 

1. 약물학의 개념

약물학(pharmacology)은 "pharmacologia"에서 왔으며, 약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pharmaco와 학문을 뜻하는 그리스어 logy가 결합한 것으로 medicinal substance에 관한 과학이란 뜻의 표현이기도 하다. 

약물학은 약물의 기원, 물리·화학적 성질, 생체에 대한 작용 및 그 기전,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독성, 용법 ·용량 등 치료적인 기본적인 지식과 임상에서의 응용 등에 관하여 여러 시각적으로 연구한 학문이다.

약은 원래 건강의 회복을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치료적인 효과를 기대하여 쓰여야 하며, 부작용 등의 유해 작용을 일으키게 사용을 해서는 아니 된다. 또 오용이나 남용은 결코 있어서는 안되므로 안전성을 위해서도 약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정립이 필요하다. 이런 견지에서 약물학은 독성학과 임상 약물학을 포함하게 된다.

약물학을 연구하려면 약물의 작용기전 및 그 약리작용을 추구해야 한다. 이를 추구하려면 생리학, 분자생물학, 생화학, 병리학, 미생물학, 면역학, 유전학 등의 실험기술을 활용하여 약물의 성질을 해석하여야 한다. 우선 화학물질인 약물이 생체의 어떠한 장기, 어느 부위에 결합하느냐 하는 것을 연구한다. 예를 들면 어떤 항암약은 세포의 핵산 분자와 결합한다거나 어떤 항균약은 세포의 리보솜(ribosome : 모든 생명체의 세포 내에 존재하는 작은 구조물.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과 결합한다는 등이다. 또 약물이 어떤 효소와 반응하고 작용을 일으키고, 생체와 결합한 양이 얼마가 되었을 때 작용이 발현되며, 약리작용(생리현상의 변화강도)의 강약은 어떠한지 등의 연구가 추구된다. 이와 같은 약리작용의 양상을 연구하여 이들 각종 기초 및 임상연구 결과에 따라 화학적인 물질을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활용하게 되는데 약물학은 이 화학물질을 악으로 사용하는데 필요한 용법ㆍ용량 ㆍ적용의 합리성을 체계화하는데 기초가 되는 학문이다.

화학물질의 작용으로 생명유지에 유해한 독작용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중독이라고 하며, 중독의 예방, 치료, 진단 중에 사용되는 화학구조나 서로 상태가 다른 물질은 너무도 많기에 생체 내에 침입하였을 때 일으키는 작용 또한 너무도 다양하다. 이들 하나하나의 작용에 대한 연구가 또한 약물학 연구의 대상이며, 특히 어떤 물질이 생체에 대한 약물 작용을 일으켰을 때 이것을 치료에 응용하기 위해 각별한 약물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삼게 된다.

약물학을 습득하는 최종 목표는 인체에 약물을 적용했을 때 독작용 및 부작용 등의 유해 작용은 물론, 질환 치료나 예방 등의 효과를 예비하여 각종 질환의 치료와 건강의 향상에 기여하는 데 있다.

 

2. 약물학의 분류

약물학은 약물의  생체에 대한 활성상 관계를 규명하고 임상에 응용하여 질환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지식을 체계화하는 학문의 총칭.

  • 실험물리학 : 약물을 생체에 적용하면 어떤 작용을 일으키느냐 하는 약물 작용의 양상을 연구하는 학문
  • 실험치료학 : 약물이 가지는 작용이 어떤 질환치료에 유효한가의 여부를 연구하는 학문
  • 약물역학 : 약물이 생체에 대하여 어떠한 특이적 작용을 하는가의 여부를 생리ㆍ생화학적 작용효과를 연구하는 학문
  • 약물동력학 : 생체내에서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등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
  • 비교약물학 : 약물의 생체에 대한 작용 중 특정동물이나 기관에 대한 차이를 연구하는 학문
  • 약물유전학 : 생체의 유전인자 차이가 약물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 분자약물학 : 약물분자가 세포 구성성분이나 작용부위에서 약리작용을 발현하는 과정을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는 학문
  • 임상약물학 : 약물의 임상적용의 합리성을 연구하는 학문
  • 독성학 : 약물의 독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부작용, 유해반응을 비롯하여 과량투여 시 유해반응 및 해독법 등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3. 약물의 특성

약이란 화학적 작용을 통하여 생체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일부를 제외하고는 생체내의 특정분자(수용체)와 결합하여 그의 기능을 변화시킨다.

  • 약의 물리적 특성 : 약은 실온에서 고체이거나 액체 또는 기체상태로 존재(투여경로를 선택하는 중요한 특성)
  • 약의 분자크기 : 약의 분자량은 lithium ion과 같이 작은 것은 7, alteplase같이 큰 것은 59,050으로 다양(대부분은 100과 1,000 사이 분자량을 가짐)
  • 약의 반응성 : 약은 수용체와 화학적 결합을 통하여 상호작용하며, 공유결합, 정전기적결합, 수수성결합 등 세 가지가 있음
  • 약의 입체구조 : 수용체와의 결합에 있어 중요한 영향인자이며 한 가지 약물의 입체이성질체는 약리작용에서 큰 차이를 보일 수 있음

 

 

그럼 다들 맛있고 즐겁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

 

 

 

728x90
반응형
LIST

'4. 건강관련 > - 약물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2-3, 약물역학  (8) 2025.01.26
STUDY 2-2, 약물역학  (0) 2025.01.26
STUDY 2-1, 약물역학  (2) 2025.01.24
STUDY 1-2, 수용체와 신호전달  (3) 2025.01.23
STUDY 1-1, 수용체와 신호전달  (0) 2025.01.22